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웹 브라우저와 웹 표준

반응형

 본인이 알고있는 브라우저에 대해 한번 말해 보겠다. IE,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모질라 등 많은 종류의 브라우저가 존재한다. (본인은 크롬과 IE 만 사용해봤다 ㅎㅎ..)

 

이렇게 브라우저 시장점유 경쟁을 하면서 서로 배타적인 기술을 도입하던 나머지 똑같은 웹페이지가 다르게 보이고 이종의 브라우저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기술 때문에 많은 혼란을 겪어왔다. 

또한 서로다른 연령대와 서로다른 브라우저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떻게 하면 편하게 웹을 이용할까, 어떻게 해야 저비용으로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등 이러한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1. 웹 표준을 지키자

 

2.구조,표현, 동작을 분리하자

 

3. 최소한의 디버깅을 거쳐라 

등이 해결방안이 될 수 있겠다. 

 

첫번쨰 웹 표준을 지키기전에 먼저 웹표준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이다.

 

웹사이트에 적용되는 HTML, CSS, 자바스크립트 같은 것은 어디에서 정해져서 사용되는 것이냐 하면 

World Wide Web Consortium(W3C) 에서 만들어 진다. W3C는 1994년 미국의 MIT, 정보 수학 유럽 연구 컨소시움(ERCIM), 그리고 일본의 게이오 대학이 연합하여 만들어진 국제적인 웹 기술 표준 기구이다. 연구 기관으로만 이루어진 것 같으나 웹과 관련된 510여개의 국제적인 다국저 IT 기업체가 참여하여 각각 자사의 기술을 표준화 하고자 하는 전투장이기도 하다. W3C의 역할은 정보 ,의견 교환, 아이디어 방출, 독립적 사고, 가이드 라인, 소프트웨어 및 여러 사안의 표준안을 제공함으로써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웹표준'에서 실질적으로 표준이란 단어는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보면 되겠다. 

권고안은 W3C의 토론을 통해 가장 최상위 단계를 말한다 

 

제안된 표준(Draft) -> 작업하는 표준(Working Draft) -> 확정될 권고안 (Candidate Recommendation) -> 확정된 권고안 (Recommendation) 순이 되겠다. 

 

이제 W3C에서 제공하는 각종 웹표준 권고안에 대해 살펴보겠다 . 

 

*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 CSS(Cascading Style Sheets)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DOM(Document Object Model) 

* ECMAScript 

 

웹 표준을 지킨다고 하는 것은 W3C의 표준안을 지킨다는 것을 말한다. W3C의 표준 활동등을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표준 권고안을 공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웹사이트 개발에 필요한 주요 표준안들에 대한 목록을 살펴보자.

 

* [HTML 4.01] 

* [XHTML1.0] 

* [XHTML 1.1]

* [CSS1] 

* [CSS2.1] 

* [DOM Level 1, Level 2, Level 3] 

* [XML] 

* [HTTP]  (HTTP 등과 같은 프로토콜 표준은 W3C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다)

 

 

간단하게 웹 표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웹 표준 스펙과 목록에 관한 내용은 따로 더 정리해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