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ctjs

ContextAPI 쓰는 이유와 애플리케이션 동작 방식 차이

반응형

리액트 프로젝트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오늘 얘기 해 볼까 한다.

 

우선 contextAPI를 쓰지 않고 컴포넌트들 끼리 단계를 거져가면서 상호작용을 할 때 의 구조도를 보고있다.

 

 

간단히 바꿔서 설명하자면 컴포넌트 A, B, C, D가 있고 컴포넌트 들끼리 상태값이 영향을 주고 있는 상태라고 치면 위와 같은 방식에서는 D의 상태값이 변하면 A의 상태값이 변해야 되는데 그러기 위해 C, D 컴포넌트를 거쳐가면서 변화시켜줘야 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ContextAPI 를 사용하게 되면 음 전역변수의 개념으로 즉 전역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해줘야 할 때 사용 해주면 되겠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크고 다루어야 할 데이터가 많고 변수가 많으면 용이하게 쓰이겠지만 굳이 간단한 프로젝트에서는 props를 컴포넌트들 끼리 이동시키며 간단히 진행해주어도 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