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Git Git

GIt commit and repository (repository 만들어보기)

반응형

깃을 연습해보면서 알아야 될 개념중에 commit 과 repository 라는 것이 있다. 

 

간단히 말하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버전별로 사진처럼 찍어내는 행위 및 그로 인해 나온 결과물을 '커밋'이라고 말하고 그 커밋된 파일들을 저장시켜놓는 곳이 repository 다. 

 

한번 터미널을 열어서 repository를 만들어 보자.

 

매우 간단하다.

우선 본인이 원하는 경로에 앞으로 깃으로 관리해줄 프로젝트라고 생각하고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어준다. 

 

 

만들어준 티렉토리 내에서 

git init

명령어를 실행시켜 주면 깃 레포지토리가 초기화~~ 하면서 밑에 마스터 브랜치가 생기면서 정상적으로 잘 작동이 되었다. 

 

 

.git 파일 내부에 가보면 여러 파일과 디렉토리들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깃이 수행할 복잡한 기능들을 처리하기 위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 프로젝트 디렉토리 자체를 깃 레포지터리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는 깃으로 관리를 시작해주면서 생기는 .git 파일을 레포지토리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긴 하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