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chown, find, which) 지금까지 수도없이 ls -l 명령어를 써왔을 것이다. 이번에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 그룹명을 바꾸어 줄 수 있는 chown 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저 부분이 소유자와 그룹명을 나타내주고 있는데 한번 sudo 명령어와 chown 명령어를 이용해 linkwork 파일의 소유자를 바꾸어보겠당. 사용법은 chown 사용자명:그룹명 바꿀파일명 식으로 해주면 되겠다. 하지만 누군가의 소유자명, 그룹명을 바꾸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앞에 sudo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진행했을 때 막 연습하는 시기여서 유저가 하나밖에 없었기에 사용자를 먼저 추가해주었다. 사용자 추가하는 것은 sudo 를 이용해 간단히 할 수 있고 새로운 사용자로 linkwork 를 바꾸어주면 이런식으로 성공적으로 바뀐 것.. 더보기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tar) 이젠 시스템 명령어중 파일과 디렉토리를 압축하고 압축한 것을 풀수 있는 tar 라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다. tar 명령어뒤에 cvfz 를 입력해준뒤에 압축할 파일명을 적어주고 그 뒤에는 / 로 구분해주면서 디렉토리명이나 파일명들을 적어주면 되겠다. 만약 현재 위치한 파일이나 디렉토리 모두 압축할때는 * 를 써주면 되겠다. 한 가지 기억할 것은 cvfz 에서 c 즉 create 로 압축파일을 생성하겠다는 것이다. 이제 한 번 새로운 테스트용 디렉토리를 만든 뒤에 그곳에서 압축을 풀어 보겠다. 복습 겸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고 파일을 옴겨주면 옮겨준 뒤에 압축파일을 생성했던 것과 같이 tar 뒤에 extract 의 의미를 담고있는 xvfz 를 입력해준뒤에 압축파일명을 적어주면 된다. 더보기 <Linux> 기본 명령어 grep 커맨드(명령어) 기반의 리눅스 환경에서 문자열을 이용해서 파일안의 내용이나 파일명 중 일치하는 것들을 찾아 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쿼리문에서 like 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되겠다. 예시로 linkwork 라는 파일명 안에 line 이라는 데이터들이 있는데 한번 찾아보겠다. 이런 식으로 grep 뒤에 본인이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입력해주고 파일명을 써주면 된다. 그 다음 내용만 찾는 것이 아니라 파일명도 같이 출력 해주고 싶을 떈 grep 뒤에 -H 를 적어주면 되겠다. (소문자 말고 대문자로 적어야 제대로 작동이 되는 것을 볼 수가 있겠다.) 이런 식으로 정확히 본인이 찾고자 하는 문자열만 띄워서 보여주는 명령어도 있다 바로 -w 를 붙여주는 것이다. 또 한가지 팁으로 알아두면 좋은 것중 하나가 .. 더보기 <Linux> 리눅스 명령어 head, tail 파일의 처음과 끝부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가 있다 바로 head 와 tail 인데 head는 기본적으로 10 라인의 내용을 보여주고 뒤에 명령어를 추가해줌으로써 본인이 원하는 양의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다음은 tail 명령어인데 개발자들이 많이 애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다. tail 명령어 뒤에 -f 를 붙여주고 파일명을 적게 되면 파일에 어떤 내용이 추가되는 즉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즉 에러나 디버그 혹은 각종 데이터 값을 확인 할 때 자주 쓰게 된다. 이런 식으로 tail -f 로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켜두고 다른 커널에서 뒤에 문구를 추가해주면 실시간으로 파일에 추가되는 사항이나 메세지를 확인 할 수가 있다. 더보기 <Linux> 리눅스에서 링크란?? 리눅스에는 링크개념이 존재하는데 쉽게 말하면 우리가 좋아하는 게임을 C드라이브 설치된 폴더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탕화면에서 아이콘을 통해 실행시킬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우선 링크에는 크게 하드링크, 소프트링크 2가지가 있는데 그렇다면 파일 링크는 왜 쓸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경로단축을 위해 링크를 설정하는 경우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싶을 경우, 또 파일들의 통일성을 주기 위한 경우 등 여러 이유를 들 수 있겠다. 먼저 소프트링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소프트링크는 나중에 서비스를 만들고 배포할 때 참조하는 라이브러리가 바뀔 때 마다 쉽게 바꾸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잘 알아두장 우선 소프트링크를 하는 법은 ln 명령어 뒤에 -s 를 붙여주고 링크시킬 파일과 .. 더보기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들 (1) 개발자라면 리눅스와 친하게 지낼수 밖에 없다. 리눅스는 OS 로써 그럼 우리가 맥이나 윈도우즈 말고 리눅스를 메인 OS 로 삼아서 사용한다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 중이나 개발중에 리눅스에서 서버를 돌리는 등 리눅스 관련 작업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럼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알아보겠다. 1. pwd : 자신이 현재 어느 디렉토리에 있는지 알수 있는 명령어 2. ls : 디렉토리에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알려주는 명령어 2-1. ls -l : 파일들의 좀 더 자세한 내용까지 알려주는 명령어 2-2. ls -al : 숨겨진 파일들까지 알려주는 명령어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름앞에 . 이 붙으면 숨김파일이라는 뜻) 위 사진에서 첫 번쨰 글씨가 ㅡ , d , l 로 시작하는거에서 각각 파일, 디렉토리, 링크 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