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MVC 방식 MVC는 Model Controller View 의 약자로 개발하면서 자주 들어보았을 것이다. JSP는 간단하고 쉽게 웹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지만 로직이 복잡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는 불편한 점들이 많다. 소스코드 안에 브라우저에서 전달 되는 인수 처리,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베이스 연계 및 UI 코드 등을 하나의 모듈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소스코드가 길어지고 중복되는 코드 구현이 많아질 수 있다. 이렇게 반복되는 코드등을 신경 쓰지 않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하는 방식의 소스코드를 모델1 이라고 한다. 모델 1은 스파케티 코드 라고도 하는데 화면과 비즈니스 로직 즉 UI코드(html)과 비즈니스 로직이 분리가 안되어 가독성이 떨어지며 복잡한 코드를 만들게 된다. Html코드 사이사이에 코드블럭을 이용해 중.. 더보기 <javascript> Scope 간단히 말해서 자바스크립트에서 스코프란 어떤 변수들에 접근 할 수 있는지를 말한다. 그 종류엔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가 있는데 이름도 전역변수와 지역변수가 떠오르는데 의미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다 . 접근가능한 정도(범위) == 스코프!! var name = "sanghoon"; // 전역변수 function sayName(){ console.log(name); } console.log(name) // sanghoon sayName(); // sanghoon 전역변수를 선언하면 코드 모든 곳에서 해당변수를 사용 할 수 있다. function sayName(){ var name = "sanghoon"; // 전역변수가 아닌 함수블록내부에 선언 console.log(name); } sayName(); .. 더보기 웹 브라우저와 웹 표준 본인이 알고있는 브라우저에 대해 한번 말해 보겠다. IE,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모질라 등 많은 종류의 브라우저가 존재한다. (본인은 크롬과 IE 만 사용해봤다 ㅎㅎ..) 이렇게 브라우저 시장점유 경쟁을 하면서 서로 배타적인 기술을 도입하던 나머지 똑같은 웹페이지가 다르게 보이고 이종의 브라우저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기술 때문에 많은 혼란을 겪어왔다. 또한 서로다른 연령대와 서로다른 브라우저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떻게 하면 편하게 웹을 이용할까, 어떻게 해야 저비용으로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등 이러한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1. 웹 표준을 지키자 2.구조,표현, 동작을 분리하자 3. 최소한의 디버깅을 거쳐라 등이 해결방안이 될 수 있겠다. 첫번쨰 웹 표준을 지키기전에 먼저 웹.. 더보기 WEB/WAS 와 간단한 차이와 설명 출처: https://cybersecuritynews.co.uk/popular-web-application-attacks-and-recommendations/ Web Server 와 Web Application Server(WAS)에 대해서는 웹 개발을 하던 사람이라면 자주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름에서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두 단어가 하는 역할은 상당히 비슷하면서 물론 차이점도 존재한다. 간단히 둘에 대해 알아보자. Web Server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된다 *하드웨어 : 웹 서버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를 제공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크게 2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 WAS 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정적인 컨텐츠 제공 * .. 더보기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chown, find, which) 지금까지 수도없이 ls -l 명령어를 써왔을 것이다. 이번에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 그룹명을 바꾸어 줄 수 있는 chown 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저 부분이 소유자와 그룹명을 나타내주고 있는데 한번 sudo 명령어와 chown 명령어를 이용해 linkwork 파일의 소유자를 바꾸어보겠당. 사용법은 chown 사용자명:그룹명 바꿀파일명 식으로 해주면 되겠다. 하지만 누군가의 소유자명, 그룹명을 바꾸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앞에 sudo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진행했을 때 막 연습하는 시기여서 유저가 하나밖에 없었기에 사용자를 먼저 추가해주었다. 사용자 추가하는 것은 sudo 를 이용해 간단히 할 수 있고 새로운 사용자로 linkwork 를 바꾸어주면 이런식으로 성공적으로 바뀐 것.. 더보기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tar) 이젠 시스템 명령어중 파일과 디렉토리를 압축하고 압축한 것을 풀수 있는 tar 라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다. tar 명령어뒤에 cvfz 를 입력해준뒤에 압축할 파일명을 적어주고 그 뒤에는 / 로 구분해주면서 디렉토리명이나 파일명들을 적어주면 되겠다. 만약 현재 위치한 파일이나 디렉토리 모두 압축할때는 * 를 써주면 되겠다. 한 가지 기억할 것은 cvfz 에서 c 즉 create 로 압축파일을 생성하겠다는 것이다. 이제 한 번 새로운 테스트용 디렉토리를 만든 뒤에 그곳에서 압축을 풀어 보겠다. 복습 겸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고 파일을 옴겨주면 옮겨준 뒤에 압축파일을 생성했던 것과 같이 tar 뒤에 extract 의 의미를 담고있는 xvfz 를 입력해준뒤에 압축파일명을 적어주면 된다. 더보기 <Linux> 기본 명령어 grep 커맨드(명령어) 기반의 리눅스 환경에서 문자열을 이용해서 파일안의 내용이나 파일명 중 일치하는 것들을 찾아 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쿼리문에서 like 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되겠다. 예시로 linkwork 라는 파일명 안에 line 이라는 데이터들이 있는데 한번 찾아보겠다. 이런 식으로 grep 뒤에 본인이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입력해주고 파일명을 써주면 된다. 그 다음 내용만 찾는 것이 아니라 파일명도 같이 출력 해주고 싶을 떈 grep 뒤에 -H 를 적어주면 되겠다. (소문자 말고 대문자로 적어야 제대로 작동이 되는 것을 볼 수가 있겠다.) 이런 식으로 정확히 본인이 찾고자 하는 문자열만 띄워서 보여주는 명령어도 있다 바로 -w 를 붙여주는 것이다. 또 한가지 팁으로 알아두면 좋은 것중 하나가 .. 더보기 <Linux> 리눅스 명령어 head, tail 파일의 처음과 끝부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가 있다 바로 head 와 tail 인데 head는 기본적으로 10 라인의 내용을 보여주고 뒤에 명령어를 추가해줌으로써 본인이 원하는 양의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다음은 tail 명령어인데 개발자들이 많이 애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다. tail 명령어 뒤에 -f 를 붙여주고 파일명을 적게 되면 파일에 어떤 내용이 추가되는 즉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즉 에러나 디버그 혹은 각종 데이터 값을 확인 할 때 자주 쓰게 된다. 이런 식으로 tail -f 로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켜두고 다른 커널에서 뒤에 문구를 추가해주면 실시간으로 파일에 추가되는 사항이나 메세지를 확인 할 수가 있다. 더보기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